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레펜타
- parted
- eql
- nmcli
- 갤럭시
- cockpit
- centos 7
- GDisk
- CRS #레드비
- bonding
- 샤샤자
- centos8
- firewalld
- packstack
- yum
- WebConsole
- VMWare
- 갤럭시 피시본
- DELL N Switch
- OpenStack
- Local Repository
- centos7
- Windows NTP
- selinux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bonding (1)
딜미의 잡다한 IT 이야기...
CentOS8 Bonding
Linux에서 Bonding 란? 두개의 물리적인 네트워크(Port)를 하나의 논리적인 네트워크로 구성하여, 장애대응 or 대역폭확장 용도로 사용하는 기능? 이라고 할 수 있다. 주로 사용하는 Bonding 옵션은 3가지 1. Round Robin(라운드 로빈) Bonding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대해 균등하게 패킷통신을 한다. 패킷균등분배 및 장애에 대한 기능이 지원된다. 해당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스위치에서 Lacp같은 기능이 지원되야 한다. Mode = 0 2. Active Backup(액티브-백업) Bonding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중 하나만 사용하는 기능으로 남은 하나는 Slave 모드로 동작을 하다 Primary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면 Failover이 발생하는 구조 해당 기능 사용..
Server/Linux
2020. 9. 10. 13: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