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cephadm 배포
- centos8
- bonding
- VMWare
- centos 7
- GDisk
- eql
- 샤샤자
- 갤럭시
- Windows NTP
- firewalld
- 갤럭시 피시본
- ceph 테스트 환경
- 레펜타
- parted
- selinux
- nmcli
- Local Repository
- packstack
- OpenStack
- CRS #레드비
- cockpit
- WebConsole
- centos7
- DELL N Switch
- yum
- Today
- Total
딜미의 잡다한 IT 이야기...
FIREWALL 설정 관리 본문
FIREWALL란
RHEL7부터
FIREWALL 사용법
firewall-cmd 명령어를 사용
firewall-cmd --state <=현재 방화벽 상태 확인

firewall-cmd --get-zone <=사전에 정의된 zone목록

firewall-cmd –list-all-zones <=정의된 zone에 대한 자세한 정보

firewall-cmd --get-active-zone <=현재 활성화된 zone 확인

firewall-cmd --list-all <=활성화된 zone 설정 정보 확인

firewall-cmd --permanent <=정책 영구 적용 옵션, 즉시 반영되지 않는다.

=> 활성화된 방화벽 zone에 snmp 서비스 추가
해당 서비스는 바로 활성화가 되지 않고 서비스 reload or reboot 하거나(network 순단발생)
--permanent 옵션 없이 설정 재적용을 하면 바로 활성화가 가능하나 재부팅 후 초기화됨
firewall-cmd --info-zone=public <=활성화된 public zone 설정 정보 확인
firewall-cmd --add-service=snmp <=활성화된 zone에 snmp 서비스 추가

하나의 interface에는 하나의 zone만 설정이 가능하다.
firewall-cmd --zone=external –change-zone=bond0 <=bond0 인터페이스를 external zone로 변경


direct 옵션으로 inbound/outbound 설정
나가는 SSH 접속 막기
firewall-cmd --direct --add-rule ipv4 filter OUTPUT 0 -p tcp --dport=22 -j DROP
옵션 값 설명
--add-rule 룰을 적용할 프로토콜 ipv4/ipv6/eb
filter 룰을 적용할 곳 INBOUND/OUTBOUNT/FORWARDING
-p 사용할 패킷타입 tcp/udp
--dport= 적용할 포트 22,8000,8080,443…
-j 적용 방식 DROP/ACCEPT/REJECT
direct 적용된 내용 확인
firewall-cmd --direct --get-all-rules

'Server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entOS8 Bonding (0) | 2020.09.10 |
---|---|
Local Repository 설정 (0) | 2019.09.24 |
SELINUX 설정 방법 (0) | 2019.09.10 |
Parted & Gdisk 사용법 (0) | 2019.09.09 |
nmcli 사용방법 (2) | 2019.09.06 |